기술 블로그에 대한 글
기술 블로그에 대한 글
기술 블로그를 만들 때 선택지가 너무 많아서 이리저리 고민을 많이 했어서 정리했다.
블로그 서비스 이용
티스토리 | velog | 네이버 블로그 | 블로그 스팟 | 미디엄 | |
---|---|---|---|---|---|
설명 | 다음 카카오 블로그 서비스 | 개발자용 블로그 서비스. |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 | 구글 블로그 서비스 | 미국.. 블로그 서비스 |
장점 | 많이 써서 무난함. 자유도도 어느정도 있는 듯. | 깔끔한 디자인. 기술 블로그에 맞는 기능들 지원. | 풍부한 ogq 이모티콘. 편집기가 예쁘다. | 심플하게 갖출기능 다 갖춤. | 깔끔한 디자인. |
단점 | 구글이 크롤링 못하게 해서 구글 검색에서 안보임. | 왠지 스팸블로그 같은 느낌. 안 예쁘다 | 검색, 코드 블록이 지원 안됨. |
이글루 없어진거 보면 장래에 없어지지 않을 플랫폼을 선정하는 것도 중요할 듯..
정적 페이지로 운영
대부분 깃허브 페이지로 쓴다.
가끔 넷플리파이나 헤로쿠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넷플리파이는 정적 호스팅 서비스 헤로쿠는 동적 호스팅 서비스. 헤로쿠는 유료화되서 안쓸듯.
깃헙 블로그에 많이 사용되는 정적 사이트 생성기: 마크다운(markdown)이나 텍스트 파일 같은 소스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 HTML, CSS, JS 등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웹사이트를 생성.
프레임워크 | Jekyll | Hugo | Gatsby | Hexo |
---|---|---|---|---|
언어, 라이브러리 | Ruby | GoLang | ReactJS | NodeJS |
주 용도 | 블로그 지향적 정적사이트 생성기 | 정적 사이트 생성기 | 정적 사이트 생성기 | 블로그 생성기 |
다른 프레임 워크 써보고 싶은게 있어서 고민해보다가 곰곰히 생각해보다가 그냥 있는 블로그나 잘 정비하고 레이아웃이나 내가 좋아하는 모양으로 만들자고 생각했다. 그래서 쓰던 그대로 Jekyll을 쓰고 있다. 스킨은 그냥 minimal mistakes 쓰는 것을 추천. 다른 스킨들 비교 했을 때 가장 완성도 있었다.
깃허브 블로그는 깃허브 리포지토리에 커밋을 하는 방식으로 블로그 글을 작성하는데 깃허브는 포크도 되고 파일 다운도 할 수 있다보니 학생 계정 프로로 리포지토리 비공개를 해놨다. 옛날에 해서 기억은 잘 안나는데 아마 깃허브 페이지는 프로 계정만 프라이빗으로 바꿀 수 있었던거 같다.
홈페이지 운영
이렇게 까지는 잘 안하는 것 같다. 홈페이지도 오픈소스 템플릿이 있을 것 같은데 안 찾아봄
장점: 공부가 된다.
단점: 할거 많음.
블로그를 하는 목적의 본질을 생각하면 결국 글을 올리는 것인데 이것저것 만들다보면 오래 걸리고 기술블로그를 만드려고(시작하려고)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컴공 초심자/입문자 이기 때문에 본질(글 올리기) 을 시작하기까지 오래걸리게 된다.! 하나 하면 하나가 아쉽고 이거 하면 저게 부족하고. 끝없는 블로그 번뇌 끝에 블로그는 공부하려고 쓰기보다는 글 올리기의 본질에 집중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론 원하는대로 하는 거지만 나는 그냥 남이 만들어 준 거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주 편하고 싶다 → 기존 서비스 아무거나
깃허브 활용 조금 → 깃허브 페이지로 정적 페이지 생성인데! 남이 만든 블로그 템플릿 포크해서 쓰는 것이 제일 좋다.
Don’t reinvent the wheel, just redesign it